[기고] 담배소송과 공공기관의 책무
2014년 4월 국민건강보험공단은 KT&T, 한국필립모리스, BAT코 리아를 상대로 흡연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535억원의 담배소송을 진행하였으나 2020년 1심 판결에서 패소를 하고 현재 항소심을 진행 중이다. 국민보건과 사회보장 증진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공 단은 건강보험제도가 도입된 1977년 이래 최단기간인 12년만에 전국민 건 강보험시대를 열었으며 낮은 비용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접근성과 양 질의 서비스 제공으로 국민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사회안전망’ 으로 깊이 뿌리를 내렸다. 2022년 건강보험환자의 총 진료비는 120조가 넘으며 비급여 진료비를 제 외한 공단 부담금은 79.2조에 달한다. 이중 공단은 흡연관련 진료비로 연 간 약 3조 5000억원(20221년)을 지출하고 있으며 별개로 금연지원 사업에 연 간 300억원이 넘는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흡연과 폐암 및 후두암의 인과 관계가 일부 인정되었으나 1심 재판부는 흡연에 노출된 시기와 정도, 생활 습관, 가족력 등 흡연 외 다른 위험인자가 없다는 사실을 추가로 증명해야 한다며 담배회사의 손을 들어 주었다. 공단의 소송제기 전 개인들이 낸 소 송 및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