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정조효문화제 서울 배다리 시도식(우측 1번째 채인석 화성시장)/(사진=화성시제공)
[중앙뉴스타임스=방재영.권정숙 기자] 222년 만에 완벽히 재현된 정조대왕 능행차가 서울 창덕궁에서 출발해 마지막 목적지인 화성 융릉에서 `2017 정조 효 문화제` 와 어우러지며 효의 도시로서의 화성시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정조대왕의 효심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화성 융·건릉에서 23일부터 24일까지 2일간 개최된 `2017 정조 효 문화제` 는 5만명의 관람객이 참석해 성황리에 마쳤다.
`효의 길, 융릉으로 향하다` 를 주제로 열린 이번 문화제는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과 함께 철저한 고증을 거친 `왕릉어가행렬` 과 `현륭원 궁원의 제향` , `경모궁 의례 및 제례악` 이 최초로 재현되면서 더욱 의미 있는 행사로 기록됐다.
특히 제향이 진행되는 융릉과 해설이 있는 메인무대가 이원 생중계로 연결돼 관람객들이 보다 쉽게 역사와 제례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번 문화제만을 위해 기획된 창작 마당극 `화산이 품은 뜻은 ? 정조대왕 초장지 이야기` 와 `정조과학관` , `정조의 일생 스탬프 투어` , `저잣거리 체험` 등 역대 최대 규모로 꾸려진 체험 프로그램들 역시 관람객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었다.
채인석 화성시장은 "향후 정조대왕 옛길을 복원해 보다 완벽한 능행차를 재현할 계획" 이라며, "대한민국 대표 효 축제로서 발전시킬 것" 이라고 말했다.

23일 용주사 효행문화원에서 열린 정조대왕 효 전국바둑축제 (사진=화성시제공)
한편, 문화제 기간 동안 용주사 일원에서 열린 `2017 정조대왕 효 전국바둑축제` 는 가족부문 17팀, 일반 부문 950명, 총 980여 명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