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오후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A에서 경기도와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충청남도, 제주특별자치도의 공동주최로 `2017 지역에너지포럼` 이 열렸다.
이번 포럼은 `에너지전환 시대, 에너지 분권 확대를 위한 지자체의 제안` 을 주제로 신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발맞춰 지자체를 중심으로 에너지 분권을 구체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특히 그간 중앙정부에서 주도되던 에너지정책 기조에서 탈피, 각 지자체별로 에너지 자립과 에너지 자치를 실현하는데 중점을 뒀다.
이날 포럼에서 경기도는 `경기도 에너지비전 2030` 을, 서울은 `원전하나줄이기 추진성과` 를, 충남은 `탈석탄 에너지전환 비전` 을, 제주는 `제주 CFI 2030` 을, 부산은 `클린에너지 도시, 부산!` 을 각각 발표하고, 참가자들 간 열띤 논의를 벌이는 자리가 열렸다.
경기도는 이 자리에서 `경기도 에너지비전 2030` 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도의 에너지비전 2030’은 오는 2030년까지 도와 도의회, 31개 시·군, 공공기관, 도민이 함께 추진할 중장기 에너지정책으로 3대 혁신전략과 10대 핵심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이날 발표를 맡은 황영성 도 에너지과장은 "에너지비전 2030은 2013년 기준 29.6%인 도내 전력자립도를 오는 2030년까지 70%까지 끌어올리는 한편, 전체 전력생산량의 6.5%에 불과한 현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까지 확대한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고 설명했다.
황영성 과장은 이어서 "미래의 화두는 에너지 자립에 있다. 특히 전력소비 1위 전력 외부의존도가 70%에 달하는 경기도가 바뀌면 대한민국 전체가 바뀔 수 있을 것" 이라며, "앞으로 경기도기 에너지 정책에 있어 대한민국의 표준, 글로벌 스탠더드를 만들어 가겠다"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