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수원시가 16일 인천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연 `생물자원을 활용한 사회적경제 활성화 포럼`에서 윤준 사회적기업 한국고유식물연구소 대표는 "외래종 확산과 인식 부족으로 한국 고유식물들이 위기에 빠져있다" 면서 "정부 기관과 생산자, 소비자가 협력해 고유식물 저변 확대를 위한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고 말했다.
`고유식물의 지속 가능한 이용 모델` 을 주제로 발제한 윤 대표는 `사회적경제네트워크+민관거버넌스` 모델을 제시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지자체 등 정부 기관은 사회적경제네트워크·민관거버넌스를 지원·육성한다. 공공기관은 제도와 지원정책을 만들고, 종자·모종 증식 기술 등을 전수한다. 지자체와 중간지원조직은 사업을 집행·관리하고 지속해서 점검한다.
지역협동조합·지역농가 등 생산자는 네트워크에 고유식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사회적경제네트워크는 협업사업에 참여하고, 기술·콘텐츠를 개발해 시장을 창출한다, 생산자에게는 생물자원과 (재배)기술 등을 제공하게 된다.
윤 대표는 "민관 거버넌스는 정책과 사업을 제안하는 역할을 한다" 면서 "또 소비자는 고유생물자원을 소비해 사회적경제네트워크에 수익을 안겨주게 된다" 고 설명했다.
수원시가 주최하고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이 주관한 이날 포럼은 기조발제와 패널토론, 종합토론으로 진행됐다.
`공공자산 활용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과 일자리 창출 가능성` 을 주제로 발제한 전대욱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박사는 `지역사회 공동체 자산화 정책` 을 제안하면서 "지역자산의 방치, 비효율적 운영 등 문제를 ‘공동체소유’ 방식으로 해소할 수 있다" 고 말했다.
전 박사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지역사회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공적 자산을 활용해야 한다" 면서 "지역사회 공동체 자산화를 위해 공공기관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김태인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은 "수원시 사회적경제 주체들이 협업해 새로운 아이템을 발굴하고, 생물자원을 활용한 민관협치 모델을 만들길 바란다" 고 기대했다.
한편 수원시와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5월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생물자원 연구와 야생생물 자원화 사업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한 바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남해 자생지에서 채종하여 2015년부터 증식한 칠보치마 2000본을 수원시에 기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