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일)

  • 맑음동두천 20.9℃
  • 맑음강릉 24.8℃
  • 맑음서울 22.1℃
  • 맑음대전 22.8℃
  • 맑음대구 24.0℃
  • 맑음울산 23.6℃
  • 맑음광주 22.8℃
  • 맑음부산 24.5℃
  • 구름조금고창 22.7℃
  • 구름많음제주 24.6℃
  • 맑음강화 22.8℃
  • 맑음보은 21.1℃
  • 맑음금산 22.4℃
  • 맑음강진군 24.5℃
  • 맑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4.6℃
기상청 제공

교육

인천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 인천 지방교육행정공무원 전문성 강화 위한 인사제도 개선 방안 연구보고서 배포


(중앙뉴스타임스 = 방재영 기자) 인천시교육청은 지방교육자치 활성화로 교육행정공무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인천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인사제도 개선 방안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보고서를 배포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진은 전국 시도교육청별 인사제도 현황을 분석하고, 인천시교육청 소속 교육행정공무원 면담을 통해 인사제도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

연구에 따르면 전국 시도교육청들은 대체로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한 발탁승진 △본청 전입 공모 △인사추천제 △개방형직위 및 직위공모제 등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급수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거나 신규공무원 대상 멘토링제, 전문직위제를 운영하고, 필수실무요원이나 적극행정공무원 지정 등의 포상 형태로 공무원의 사기를 진작하기도 했다.

면담에서는 현행 인사제도 관련 전문성을 저해하는 구조적·문화적·환경적 요인을 도출했다. 먼저 구조적 요인은 △순환전보제 △경력 중심의 승진체제 △전문성 평가 및 보상 제도 부재가 꼽혔다. 문화적 요인은 △교육행정직을 전문가로 보지 않는 점 △전문성 함양에 대한 의지가 없거나 불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점 등이 지목됐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요인은 전문성을 강화할 수 없는 근무 환경 등이 주된 의견이었다.

연구진은 이에 따라 △전문성을 갖춘 인재 확보(전문직위제 운영의 내실화 등) △전문성 강화를 위한 보직관리(학교-기관 간 순환전보 활성화, 전문성 강화를 촉진하기 위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 개발 등)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직무 중심의 필수연수 운영, 장기 연수과정 운영 등) △전문성 강화를 저해하는 환경 개선(에듀테크를 활용한 적극적인 업무 지원, 민주적인 의사결정에 의한 업무분장 등)을 인천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인사제도 개선 방안으로 제시했다.

연구책임자는 “지방교육의 성과는 교육행정공무원의 전문성에 달려 있기에 전문성 강화를 저해하는 인사제도 관련 현안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역량을 갖춘 인적 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인천형 지방공무원 미래역량모델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교육정책연구소의 이번 연구보고서는 인천시교육청 누리집 ‘정책연구결과보고서’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