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 스마트도시서비스 공간계획-산업단지 부문 서비스 개념도. (사진제공=광명시)
시는 스마트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도시를 똑똑하게, 시민을 여유롭게’ 라는 비전으로 광명시스마트도시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국토교통부에 승인을 신청했다고 16일 밝혔다.
광명시 스마트도시계획(안)에 따르면 시는 2022년까지 연차적으로 192억 원을 투입해 ▲주차난 해소 ▲지역골목 활성화 ▲산업단지 활성화 ▲환경 및 에너지 문제 해소 ▲교통개선 ▲안전도시 조성 ▲신속한 사고대응 체계 등 7개 부문에 도시 서비스 27개를 제공하게 된다.
도시 서비스는 광명시 전역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기본 서비스 외에 도시재개발 및 개발 해제지역, 도시재생지역, 단독주택 및 아파트 구역,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등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특화 서비스로 분류되어 추진될 계획이다.
시는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통합 제공하기 위해 도시통합운영센터를 확장하고, 사물인터넷(IoT)망과 공공 와이파이(WiFi) 등 무선 자가망을 시 전역에 구축할 예정이다.
도시통합운영센터는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모니터링하고 운영하게 되며, 무선 자가망 등을 통해 수집되는 도시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공한 후 다시 시민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능화된 스마트도시를 구현하는 중추 역할을 하게 된다.
시는 오는 7월 말 경 광명시스마트도시계획의 국토교통부 승인을 완료한 후 하반기부터 사물인터넷(IoT) 자가망, 공공 와이파이(WiFi), 스마트 자동심장충격기 등 구축 사업을 시작으로 스마트도시 서비스 조성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