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타임스 = 방재영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6일 여주 위성센터에서 기후경제 비전을 선포했다.
이날 김 지사는 '기후경제'를 "대한민국 경제의 새이름"이라고 규정하면서 3대 전략으로 △기후산업 400조 원 투자 △석탄발전소 전면 폐지 △기후경제부 신설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기후산업에 최소 400조 원 이상의 투자가 이뤄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세부내용으로 △국민 클라우드펀딩 방식으로 국민 기후펀드 100조 원 조성 △기후채권 발행과 공공금융기관 출자로 100조 원 조성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용 기후보증 100조원 조성 △민자유치 100조 원으로 신재생에너지 전력망 구축 등을 제안했다.
김 지사는 기후산업 400조 원 200조 원은 재생에너지, 기후테크 기술개발, 전문인력 양성에 집중 투자하고 철강,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력 산업의 공정 전반을 저탄소 중심으로 전환하자고도 제안했다. 민자유치는 도로, 항만, 건설 등에 활용되는 BTL방식을 제시했다.
석탄발전소 전면 폐지와 관련해서는 단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을 늘려서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하고 동시에 에너지저장시스템, 수소연료전지 등 혁신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송전 시스템 디지털 전환을 앞당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기후경제 콘트롤 타워인 '기후경제부' 신설도 제안했다. 이를 통해 통합적인 기후 대응과 산업 전환을 이루자고 강조했다.
또한 '기후투자공사'를 설립해 지속 가능한 성장에 투자하고 녹색금융을 활성화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RE100기업과 기후테크 산업을 육성하자고도 덧붙였다.
이날 김 지사는 기후경제 대전환 3대전략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오늘 우리의 선택이 다음 세대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머뭇거릴 이유도 없다. 우리는 할 수 있다. 경기도가 그 증거"라며 "경기도의 길이 대한민국의 길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