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타임스 = 방재영 기자) 강원특별자치도는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5년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 공모에 강원대학교가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대학이 보유한 기술이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술 이전 및 기업 연계를 통해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선정으로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국비 25억 원을 포함한 총 26억 5천만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며, 도내 대학생과 청년 연구자들이 기술 기반 창업에 본격적으로 도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청년들은 학교 안에서부터 기술 기반 창업 역량을 키우고, 지역 일자리 창출의 핵심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가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다.
▲“연구실에 머물던 기술, 이제는 지역 산업으로”
이번 사업은 단순한 연구개발 지원을 넘어, 대학이 보유한 유망기술을 창업이나 기업 이전으로 연결해 실제 산업현장에서 활용되도록 돕는 ‘기술사업화 전주기 지원사업’이다.
아이디어 ➪ 기술개발 ➪ 시제품 제작 ➪ 창업 ➪ 투자유치에 이르는, 창업 전 과정을 학생과 연구자가 직접 경험하고,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
맞춤형 지원 분야는 도(道) 특화산업인 바이오헬스를 중심으로, ▲기술이전형 4건(항체기술개발·나노바이오공학 등), ▲창업형 1건(세포 간 종양 신호전달 기전 연구), ▲글로벌형 1건(한방 및 식물자원 기반 천연 기능성소재 개발) 등 총 6개이다.
▲“도내 대학 간 연계 강화로 강원 기술창업 거버넌스 완성”
도(道)는 이번 사업을 강원대뿐 아니라, 한림대(춘천)·가톨릭관동대(강릉)·상지대(원주) 등 도내 거점대학으로 확산해, ‘청년 기술인재의 지역 정착’과 ‘지역 간 균형 성장’을 함께 이루겠다는 전략이다.
주관 기관인 강원대는 이미 바이오의약신소재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어 28개의 연구소기업을 설립, 총 736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지역 기술사업화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참여 기관인 강원대 기술지주회사는 지금까지 40개 자회사를 설립하고, 145억 원 규모의 펀드를 운용하며 도내 기술창업 생태계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논문으로 끝나지 않는다. 강원도에서는 대학생이 기술로 창업한다.”
김진태 도지사는 “이번 재선정은 단순 반복이 아니라, 도(道)와 지역대학의 노력과 성과에 대한 정부의 신뢰”라며 “청년과 지역, 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