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0(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정치/행정

未定한? 不足되는?...권칠승 의원, 한글날 맞아 민법 비문 정비

‘直時’, ‘까스管’ 등 60년 묵은 ‘민법’ 비문(非文) 개정…국민 법률 접근성 제고
권칠승 “국민의 일생과 권리에 가장 가까운 민법, 명확하고 이해 쉬워야”


(중앙뉴스타임스 = 방재영 기자) 10월 9일 한글날,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의원(경기 화성병)이 ‘민법’에서 국어 어문 규범과 동떨어진 용어를 정비하는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민법’은 1958년 제정된 후 60여 년이 지났음에도, 제정 당시의 오탈자나 문법에 맞지 않는 표현이 그대로 방치되어 일반 국민이 법률 조문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백성들이 쉽게 쓰고 이해하도록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뜻을 이어, 법률 또한 쉽고 명확한 우리말로 바꾸고 국민의 법률 접근성을 높이자는 것이 개정의 목적이다.

본 개정안은 “未定(미정)한”(제148조, 제149조), “不足(부족)되는”(제574조) 등 비문 한자어 표현을 “확정되지 않은”, “부족한”으로 변경한다.

또한, 단순 오탈자로 보이는 “直時(직시)”(제209조제2항)와 “받어”(제195조)를 “즉시”, “받아”로 수정하고 외래어 표기법에 맞지 않는 “까스管(관)”(제218조제1항)을 “가스관”으로 바꾸었다. 

그 외에도 국어에서 단어로 쓰이지 않는 제1편제2장의 제목 “人” 을 “사람”으로 바꾸고, 틀린 문법으로 쓰인 “相續財産(상속재산)으로서”(제1034조제1항)를 “상속재산으로써”로 수정했다.

권칠승 의원은 “민법은 국민의 일생과 권리에 가장 가까이 닿아있는 법”이라며 “60년 넘게 방치되어 온 문법적 오류와 시대에 뒤떨어진 표현들을 바로잡고, 국민 누구나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앞으로 계속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